[뉴스초점] 우크라이나 전쟁 1년…러 '총공세' 시작?<br /><br /><br />우려했던 러시아의 총공세가 시작됐다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어제 우크라이나 전역에 수십 발의 미사일을 퍼부었는데요.<br /><br />개전 1주년을 맞아 성과를 올리겠다는 건데 목적을 달성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사를 지내신 박노벽 교수 모시고 자세한 얘기 나누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우크라이나 전역에 러시아군 미사일 수십 발이 쏟아졌습니다. 동남부 자포리자를 중심으로 수도 키이우 인근과 제2의 도시 하르키우도 미사일로 공격받았는데요. 전쟁 1년을 앞두고 러시아의 총공세 목적은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런데 총공세에 나선 러시아군이 역으로 큰 손실을 보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. 미국과 영국 국방 당국은 러시아군이 수십 대의 전차와 장갑차를 잃고 후퇴했다고 밝혔는데요. 현재 전쟁 양상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 중인 러시아 민간 군사 조직 와그너 그룹이 죄수를 용병으로 모집하는 것을 중단하기로 했습니다. 이에 참전 용병들이 속속 사면으로 풀려나면서 지역 민심이 흉흉해지고 있다는 얘기가 들리는데요. 장기전이 더 이어진다면 어떨까요? 러시아에 불리할까요?<br /><br /> 개전 1년, 우크라이나의 시간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얘기도 나옵니다. 우크라이나가 전쟁 승리를 선언하는 데 필요한 '영토 탈환'에 대해서 비관적 전망이 짙어지고 있기 때문인데요. 하지만 남북한식으로 영토를 나누는 종전 방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재차 밝혔습니다. 접점을 찾을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이 지난주 유럽 정상들을 차례로 만나 전투기 지원을 거듭 호소했지만, 당장은 어렵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. 러시아와 확전으로 치달을 것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인데요. 하지만 이 같은 선택이 전쟁을 오래 끌면서 피해를 더 키웠다는 비판도 있는데요?<br /><br /> 전쟁 1주년을 맞아 미국과 러시아 정상 모두 관련 메시지를 냅니다.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접경국인 폴란드를 방문하고요.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도네츠크와 루한스크를 독립 국가로 인정한 지 정확히 1년이 되는 날 연설할 예정입니다. 각각 어떤 메시지를 낼 것으로 보십니까?<br /><br /> 러시아는 에너지 무기화에도 나섰습니다. 다음 달부터 원유 생산량을 하루 50만 배럴씩 줄이겠다고 발표하면서 국제유가가 들썩이고 있는데요. 미국으로서는 OPEC에 증산 요청을 하는 것 외엔 별다른 대책이 없어 보이는데요?<br /><br /> 미국과 독일을 포함한 35개국은 러시아와 벨라루스에 징계적 조치에 나섰습니다. 내년 파리올림픽 출전 금지 조처를 요구한다는 계획인데요. 경제 제재에도 꿈쩍하지 않지 않았습니까? 이러한 국제사회 움직임엔 어떤 배경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1년 내내 지속되면서 다양한 파급을 일으키고 있습니다.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건 한층 더 거세진 인플레이션 압력인데요. 전쟁은 언제쯤 끝나게 될지, 그리고 이러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올해도 세계정세에 변수가 될 거라 보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